기본탭

현재 위치

바닥 카펫을 제거하고 나무 또는 라미네이트를 깔려고 하는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9/13/2014 - 10:15 오후
Question Category: 주택/집/부동산
로케이션: IL, US
바닥을 나무로 깔려고 하는데 물에 강하지 않다고 해서 주방이나 화장실은 라미네이트를 권하시는 분이 계시는데,
갈등이 생깁니다.
침실들과 서재는 그냥 카펫으로 하고 게스트룸과 리빙룸,패밀리룸,주방,욕실을 깔고 싶은데 보통 sqft당 시공비는 어느정도 하는지도 궁금합니다.
재료는 지금 카스코에서 쎄일 중이라 이것저것 봐둔것들이 있어서 그걸루 결정하면 될 것 같아요.
더 좋은 아이디어가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전문가 답변: 0

현재 미답 상태

Comments:

4
동쪽으로 지는 해의 아바타
내가 미국에 살면서 터득한 경험을 나누어 드리고자 합니다.
.
 지금 살고 계시는 지역에서 새로 짓고 있는 집들을 방문 해 보시기 바람니다.
Model House 라 하는 곳을 찾아 가 보시고, 요즈음 유행 하는 스타일이 뭔가를 배움니다.
내가 살고 있는 집이라해도 , 내 맘데로 고처 놓고 살면, 나중에 집 팔 때 어려움을 당하게  됨니다.
.
나는 지금 나무와 카펫이 공존해 있는 집에 살고 있지요.
나무도 재질이 여러가지이고, 카펫도 천차 만별 입니다.
.
사시는 지역에 따라서 ( 온도 차이를 감안 )  라미네이트냐, 나무냐를 결정하시는 것도 참고 하시기 바람니다..
.
많은 돈들여서 고치고나서, 관리를 잘 하지 않으면, 우리의 옛날 말인 
" 개 발에 편자 " 가 되고 맘니다.
.
내가 지금 살고 있는 집의 이층은 모두 나무인데,
2 주 마다, 마루바닥 관리 차원에서 사람이 와서 Cleaning을 합니다.
.
화장실 경우는 라미네이트나, 나무나, 뭔가를 해도 한국분들은 보호차원에서 Mat를 까는데,
Mat를깔려면 그리 비싼것이 아니어도 될 것 입니다. 어차피 Mat로 가려질 것이니까요..
.
다시 말씀드리지만, 새 집 짓는 곳에 가시어서 
Model House를 둘러 보시고, 그곳에서 약간의 시공비에 대한 문의를 하신후에
Home Depo  에 가시어서 다시 묻는게 좋을 듯 합니다.
.
항상 공사 하시기 전에 3 군데의 견적을 받으시고,
시공자는 되도록이면, Home Depo 를 통해서 하시면,
나중에 문제가 생겼을 때, 가장 신속히 처리를 해 줌니다 . ( 이것은 저의 경험에서 )
.
 시공비가 조금 차이가 난다고, 속된말로 돈 몇푼 아끼려하다가
엄청 골치 아픈 일을 당하시는 분들을 하두 많이 봐 왔기에 하는 말입니다.


Costco에서 구입을 하시면  약간의 돈이 Save는 되지만, 받은 물건에 결함에 있을 때, 처리하는게
그리 쉽지가 않습니다. 이 점 아시고 주문하시기 바람니다.
위로1 user has voted.
sweetmamang의 아바타
원글 쓴 사람은 아니지만,
댓글에 자세하세 설명해 주신 덕분에 이번에 딸아이 방 카펫을 교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위로0 users have voted.
yjhang의 아바타
제 경험을 통해 몇가지 알게된 바를 말씀 드릴께요.

먼저, 사시는 집이 리세일 밸류라거나 그런것 상관없이 내가 원하는대로 원하는것을 갖추고 사시고 싶은 집인지 아니면 몇년내로 판매를 하고 다른 집으로 이사를 하고픈지에 따라서 리모델링의 경우 결정에 많은 차이가 날수 있어요.

설명을 드리자면, 몇년내에 되 팔아야된다면 제일 먼저 리세일 밸류를 생각하셔서 결정을 하시는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동네의 리세일 밸류를 생각지 않고 결정을 하게 되면 동네에 비해 너무 고급으로 해서 그 값을 못받거나 아니면 동네가 고급인데 상대적으로 싸구려(ㅎㅎ) 자재를 선택하면 그 또한 리모델링을 했지만 제값을 못 받게 되거든요.

그래서 위에 동쪽으로 지는 해님께서 말씀해 주신대로 동네에 있는 집들을 한번씩 시찰해 보는것은 매우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자기집을 어떻게 해야할지가 결정이 매우 쉬워지거든요.

주로 바닥재의 경우 하드 재질일수록 재료비며 시공비가 비싼데요. 동네 자기집과 비슷한 집값대의 집들이 천연마루를 했으면 그리 하셔도 리세일 밸류를 받을수 있다는 소리이고 혹시 동네 비슷한 가격, 규모의 집들이 카펫과 라미네이트 위주라면 가격이 비싼 천연마루의 경우는 리세일 밸류를 받기 어려울수도 있으니 동네에 대한 파악이 결정에 일차로 제일 중요한것 같습니다. 

그 다음은 천연마루의 경우는 관리도 더 많고 추운 지역일수록 카펫트를 그 위에 또 깔수 밖에 없거나 아니면 아예 온돌을 함께 까는 것도 좋은데요. 온돌 시공을 하면 더 많은 가격이 되니 역시 동네 집값에 따라...

암튼, 천연마루의 경우 들은바에 의하면 광합성을 하기 때문에 카펫을 오래 깔면 햇빛을 본 마루 부분과 아닌곳과 색상 차이가 나는 마루에 자국이 남는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이사갈때 그 카펫을 두고 가거나 다시 카펫깔때 같은 사이즈 또는 더 큰것을 깔아야 된다는 말도 들은것이 있구요. 이건 정말 경험없이 주워들은 이야기라 신빙성이 있는 소리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ㅎㅎ

라이네이트는 시공이 쉬워서 조금 솜씨가 있으며 홈오너가 바로 하기 쉬운데 반해 천연마루는 시공도 어렵고 시공비도 더 많이 들어요. 관련하여서는 제가 블로그에 올린 글이 있으니 아래 링크 참조해 보세요.

-리모델링 체험기 7-마루(?) 바닥과 베이스 몰딩


라미네이트도 물이 들어가면 부풀어 올라서 못쓰게 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실제 경험도 있습니다. 물을 먹으면 스폰지처럼 부풀어 오르고 말라도 제 모습으로 돌아가지 않아요. 요즘것은 어떤지 모르겠지만요...그래서 저같은 경우 욕실은 타일로 했는데 확실히 물 많이 가는 욕실은 타일이 만만한것 같습니다.

그래서 거실, 다이닝룸과 연결하여 주방도 같은 라미네이트나 마루로 깔면 시선이 연결이 되어 집이 커 보이는 효과가 있어서 그런 경우는 주방도 권하지만 욕실쪽에 라이네이트는 개인적으로 별로 권하고 싶지 않으네요.

스타일은 아직까지 중간톤에서 다크톤이 대중에게 어필하는 톤인것 같습니다. 

이상 도움이 될까하여 알려 드려요~
위로0 users have voted.
sweetmamang의 아바타
딸아이 방 카펫을 이사 온 후에 어떻게 바꿔줄까? 고민하다가
원글님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보면서 아이디어를 얻게 되었어요.
말씀하신 내용에 따라 다음에 집을 매매할 때를 고려하고, 방 사이즈가 작아서 천연마루로 깔아주었습니다.
덕분에 아주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하다는 인사를 드리고 싶어 댓글 달았어요 ^^
위로0 users have voted.

댓글

로그인이나 등록한 후에 댓글을 작성하세요